Dive into Deep Learning
Table Of Contents
Dive into Deep Learning
Table Of Contents

3.8. 다층 퍼셉트론 (Multilayer Perceptron)

이전 절들에서 옷 이미지를 10개의 카테고리 중에 어디에 속하는지를 예측하는 멀티 클래스 로지스틱 리그레션(multiclass logistic regression) (또는 softmax regression)을 구현해봤습니다. 여기서부터 재미있는 것들이 시작됩니다. 데이터를 다루고, 출력값을 유효한 확률 분포로 바꾸고, 적합한 loss 함수를 적용하고,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기본적인 것들을 익혔으니, 이제 딥 뉴럴 네트워크를 포함하도록 우리의 도구 상자를 확장해보겠습니다.

3.8.1. 은닉층(hidden layer)

이전의 것을 기억해보면, 단일 선형 변환 (single linear transformation)을 통해서 입력들을 바로 출력으로 매핑을 했고, 이는 아래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hat{\mathbf{o}} = \mathrm{softmax}(\mathbf{W} \mathbf{x} + \mathbf{b})\]

Single layer perceptron with 5 output units.

만약 레이블(label)들이 대략적인 선형 함수로 입력 데이터와 연관을 지을 수 있다면, 이 방법은 적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선형성은 너무 강한 가정입니다. 선형성은 각 입력에 대해서, 입력값이 증가하면 다른 입력값과는 상관없이 결과값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3.8.2. 하나에서 여러개로

검정색이나 희색 이미지을 이용해서 강아지나 고양이를 분류하는 케이스를 생각해봅시다. 각 픽셀의 값을 증가시키면 강아지라고 판별할 확률값을 높이거나 내려가는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이는 합당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렇게 된다면 결국 강아지는 모두 검정색이고 고양이는 모두 흰색이거나 그 반대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이미지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서는 입력과 출력 간의 매우 복잡한 관계와 이를 위해서는 패턴이 많은 특성(feature)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특정 지어지는 가능성을 고려해야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선형 모델의 정확도는 낮을 것입니다. 우리는 한 개 이상의 은닉층(hidden layer)을 함께 사용해서 더 일반적인 함수들을 이용한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구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각 층 위에 다른 층들을 쌓는 것입니다. 각 층의 결과는 그 위의 층의 입력으로 연결되는데, 이는 마지막 출력층까지 반복됩니다. 이런 아키텍쳐는 일반적으로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이라고 불립니다. 즉, MLP는 여러 층를 연속해서 쌓아올립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Multilayer perceptron with hidden layers. This example contains a hidden layer with 5 hidden units in it.

위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에서는 입력이 4개, 출력이 3개, 중간의 은닉층(hidden layer)은 5개의 은닉 유닛(hidden unit)이 있습니다. 입력층은 어떤 연산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이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은 총 2개의 층(layer)을 갖습니다. 은닉층(hidden layer)의 뉴런(neuron)들은 입력층의 입력들과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출력층(output layer)의 뉴런과 은닉층의 뉴런들도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다층 퍼셉트론의 은닉층과 출력층은 모두 완전 연결층(fully connected layer)입니다.

3.8.3. 선형에서 비선형으로

다중 클래스 분류의 경우 위 그림이 수학적으로 어떻게 정의되는지 보겠습니다.

\[\begin{split}\begin{aligned} \mathbf{h} & = \mathbf{W}_1 \mathbf{x} + \mathbf{b}_1 \\ \mathbf{o} & = \mathbf{W}_2 \mathbf{h} + \mathbf{b}_2 \\ \hat{\mathbf{y}} & = \mathrm{softmax}(\mathbf{o}) \end{aligned}\end{split}\]

위 방법의 문제점은 은닉층을 \(\mathbf{W} = \mathbf{W}_2 \mathbf{W}_1\)\(\mathbf{b} = \mathbf{W}_2 \mathbf{b}_1 + \mathbf{b}_2\)를 사용해서 단일층 퍼셉트론(single layer perceptron) 식으로 재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층(mutilayer)이 아닌 단순한 단일층 퍼셉트론(single layer perceptron)이라는 점입니다.

\[\mathbf{o} = \mathbf{W}_2 \mathbf{h} + \mathbf{b}_2 = \mathbf{W}_2 (\mathbf{W}_1 \mathbf{x} + \mathbf{b}_1) + \mathbf{b}_2 = (\mathbf{W}_2 \mathbf{W}_1) \mathbf{x} + (\mathbf{W}_2 \mathbf{b}_1 + \mathbf{b}_2) = \mathbf{W} \mathbf{x} + \mathbf{b}\]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모든 층의 다음에 \(\mathrm{max}(x,0)\) 와 같은 비선형 함수 \(\sigma\) 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층들을 합치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해집니다. 즉,

\[\begin{split}\begin{aligned} \mathbf{h} & = \sigma(\mathbf{W}_1 \mathbf{x} + \mathbf{b}_1) \\ \mathbf{o} & = \mathbf{W}_2 \mathbf{h} + \mathbf{b}_2 \\ \hat{\mathbf{y}} & = \mathrm{softmax}(\mathbf{o}) \end{aligned}\end{split}\]

이렇게 하면, 여러 개의 은닉층들을 쌓는 것도 가능합니다. 즉, \(\mathbf{h}_1 = \sigma(\mathbf{W}_1 \mathbf{x} + \mathbf{b}_1)\)\(\mathbf{h}_2 = \sigma(\mathbf{W}_2 \mathbf{h}_1 + \mathbf{b}_2)\) 를 각각 연결해서 진짜 다층 퍼셉트론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은닉 뉴런들이 각 입력의 값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다층 퍼셉트론은 입력들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입력들에 대한 논리 연산과 같이 임의의 연산을 수행하는 은닉 노드(hidden node)를 만드는 것도 쉽습니다. 다층 퍼셉트론이 보편적인 approximator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 개의 은닉층을 갖는 다층 퍼셉트론이라도, 충분히 많은 노드와, 정확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면 모든 함수에 대한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 그 함수를 학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부분입니다. 그리고, 더 깊은 (또는 더 넓은)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다면 함수를 더욱 더 간결하게 추정할 수도 있습니다. 수학적인 부분은 이어질 장들에서 다루겠고, 이 장에서는 MLP를 실제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래 예제에서는 2개의 은닉층과 1개의 출력층을 갖는 다층 퍼셉트론을 구현해보겠습니다.

3.8.4. 벡터화와 미니 배치

샘플들이 미니 배치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벡터화를 통해서 구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벡터를 행렬로 바꿀 것입니다. \(\mathbf{X}\) 는 미니 배치의 입력 행렬에 대한 표기입니다. 2개의 은닉층(hidden layer)를 갖는 MLP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begin{split}\begin{aligned} \mathbf{H}_1 & = \sigma(\mathbf{W}_1 \mathbf{X} + \mathbf{b}_1) \\ \mathbf{H}_2 & = \sigma(\mathbf{W}_2 \mathbf{H}_1 + \mathbf{b}_2) \\ \mathbf{O} & = \mathrm{softmax}(\mathbf{W}_3 \mathbf{H}_2 + \mathbf{b}_3) \end{aligned}\end{split}\]

위 MLP는 구현을 쉽게 할 수 있고, 최적화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표기법을 조금 남용해서, 비선형(nonlinearity) \(\sigma\) 를 정의하고, 이를 행 단위로 입력에 적용하겠습니다. 즉, 한번에 하나의 관찰 또는 한번에 한 좌표씩 적용합니다. 실제 대부분 활성화 함수는 이렇게 적용합니다. (batch normalization 은 이 규칙에 대한 예외 중에 하나입니다.)

3.8.5.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의 예를 더 알아보겠습니다. 결국 딥 네트워트를 동작시키는 것은 선형(linear) 항목과 비선형(nonlinear) 항목들을 서로 교차시키는 것입니다. 구현하기 간단하고 좋은 효과로 유명한 ReLU 함수가 있습니다.

3.8.6. ReLU 함수

ReLU (rectified linear unit) 함수는 아주 간단한 비선형 변환입니다. 주어진 \(x\) 에 대해서, ReLU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mathrm{ReLU}(x) = \max(x, 0).​\]

ReLU 함수는 양수만 그대로 두고, 음수는 버리고 0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표로 그려보겠습니다. 간단한 방법으로, 도표를 그리는 함수 xyplot 를 정의하겠습니다.

[1]:
import sys
sys.path.insert(0, '..')

%matplotlib inline
import d2l
from mxnet import autograd, nd

def xyplot(x_vals, y_vals, name):
    d2l.set_figsize(figsize=(5, 2.5))
    d2l.plt.plot(x_vals.asnumpy(), y_vals.asnumpy())
    d2l.plt.xlabel('x')
    d2l.plt.ylabel(name + '(x)')

그리고, 이를 사용해서 ReLU 함수를 NDArray에서 제공하는 relu 함수를 이용해서 도식화합니다. 보이는 것처럼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은 두 개의 선형 함수로 보입니다.

[2]:
x = nd.arange(-8.0, 8.0, 0.1)
x.attach_grad()
with autograd.record():
    y = x.relu()
xyplot(x, y, 'relu')
../_images/chapter_deep-learning-basics_mlp_3_0.svg

당연히 입력이 음수일 경우 ReLU 함수의 미분 값은 0이고, 입력이 양수면 ReLU 함수의 미분 값이 1이됩니다. 하지만, 입력이 0일 경우에는 ReLU 함수는 미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입력이 0일 때는 left-hand-side (LHS) 미분인 0으로 선택합니다. ReLU 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3]:
y.backward()
xyplot(x, x.grad, 'grad of relu')
../_images/chapter_deep-learning-basics_mlp_5_0.svg

ReLU 함수는 다양한 변형이 있는데, 예를 들면 He et al., 2015. parameterized ReLU (pReLU)가 있습니다. 이는 ReLU 선형 항목을 추가해서, 입력이 음수일 경우에도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mathrm{pReLU}(x) = \max(0, x) - \alpha x​\]

ReLU를 사용하는 이유는 값이 사라지거나 그대로 전달하게 하는 식으로 미분이 아주 잘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최적화가 더 잘 되고, (나중에 설명할) vanishing gradient 문제를 줄여줍니다.

3.8.7. Sigmoid 함수

sigmoid 함수는 실수 값을 (0,1) 사이의 값으로 변환해줍니다.

\[\mathrm{sigmoid}(x) = \frac{1}{1 + \exp(-x)}.​\]

sigmoid 함수는 이전의 뉴럴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더 간단한 ReLU 함수로 대체되었습니다. “Recurrent Neural Network”장에서는 이 함수가 0과 1사이의 값으로 변환해주는 특징을 이용해서 뉴럴 네트워크에서 정보의 전달을 제어하는데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겠습니다. Sigmoid 함수의 미분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입력이 0에 가까워지면, Sigmoid 함수는 선형 변환에 가까워집니다.

[4]:
with autograd.record():
    y = x.sigmoid()
xyplot(x, y, 'sigmoid')
../_images/chapter_deep-learning-basics_mlp_7_0.svg

Sigmoid 함수의 미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frac{d}{dx} \mathrm{sigmoid}(x) = \frac{\exp(-x)}{(1 + \exp(-x))^2} = \mathrm{sigmoid}(x)\left(1-\mathrm{sigmoid}(x)\right).\]

Sigmoid 함수의 미분은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입력이 0이면, Sigmoid 함수의 미분의 최대값인 0.25가 됩니다. 입력값이 0에서 멀어지면, Sigmoid 함수의 미분값은 0으로 접근합니다.

[5]:
y.backward()
xyplot(x, x.grad, 'grad of sigmoid')
../_images/chapter_deep-learning-basics_mlp_9_0.svg

3.8.8. Tanh 함수

Tanh (Hyperbolic Tangent) 함수는 값을 -1와 1사이 값으로 변환합니다.

\[\text{tanh}(x) = \frac{1 - \exp(-2x)}{1 + \exp(-2x)}.\]

Tanh 함수를 도식화를 아래와 같이 할 수 있습니다. 입력이 0에 가까워지면, Tanh 함수는 선형 변환에 가까워 집니다. 생긴 모양이 Sigmoid 함수와 비슷하지만, Tanh 함수는 좌표의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태를 띕니다.

[6]:
with autograd.record():
    y = x.tanh()
xyplot(x, y, 'tanh')
../_images/chapter_deep-learning-basics_mlp_11_0.svg

Tanh 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frac{d}{dx} \mathrm{tanh}(x) = 1 - \mathrm{tanh}^2(x).​\]

Tanh 함수의 미분은 아래와 같이 그려지는데, 입력이 0과 가까우면 Tanh 함수의 미분은 최대값이 1에 근접하게 됩니다. 입력값이 0에서 멀어지면, Tanh 함수의 미분은 0에 접근합니다.

[7]:
y.backward()
xyplot(x, x.grad, 'grad of tanh')
../_images/chapter_deep-learning-basics_mlp_13_0.svg

요약하면, 여러 종류의 비선형을 살펴봤고, 아주 강력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도 알아봤습니다. 부수적으로 말하자면, 여기까지의 소개한 기법을 사용하면 1990년대의 최첨단의 딥러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전과 다른 점은 예전에는 C 또는 Fortran 언어를 이용해서 수천 줄의 코드로 만들어야 했던 모델을 지금은 강력한 딥러닝 프레임워크가 있어서 몇 줄의 코드로 만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3.8.9. 요약

  • 다층 퍼셉트론은 입력과 출력층에 한 개 이상의 완전 연결 은닉층(hidden layer)를 추가하고, 각 은닉층(hidden layer)의 결과에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는 ReLU 함수, Sigmoid 함수, Tanh 함수가 있습니다.

3.8.10. 문제

  1. Tanh, pReLU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의 미분을 구하시오.
  2. ReLU (또는 pReLU) 만을 사용해서 만든 multlayer perceptron은 연속된 piecewise linear function임을 증명하세요.
  3. \(\mathrm{tanh}(x) + 1 = 2 \mathrm{sigmoid}(2x)\) 임을 증명하세요.
  4. 층들 사이에 비선형없이 만든 다층 퍼셉트론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d\) 입력 차원, \(d\) 출력 차원, 그리고 다른 layer는 \(d/2\) 차원을 찾는다고 했을 때, 이 네트워크는 단층 퍼셉트론(single layer perceptron) 보다 강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세요.
  5. 한번에 하나의 미니배치에 적용하는 비선형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렇게 해서 발생하는 문제가 무엇이 있을까요?

3.8.11. Scan the QR Code to Discuss

image0